국민소득, 손에 잡히는 경제용어

국민소득은 한 나라의 거주자들이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과정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합친 것으로 정의됩니다. 이는 시장가격(market prices)과 요소비용(factor cost) 두 가지 가격에 의해 측정될 수 있습니다.

 

국민소득

 

국민소득

요소비용 국민소득은 국민소득통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국민소득을 요소비용으로 측정한 것을 의미합니다. 국민소득은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본원소득(Primary Income)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요소비용이란 시장가격에서 순생산세 및 수입세를 공제한 것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에 사용된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인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와 같아집니다.

즉, 생산에 참여한 주요 생산요소인 노동과 자본의 보상인 피용자보수와 기업의 이익인 영업잉여를 합산한 것입니다. 요소비용 국민소득은 국민소득보다 간접세인 생산세 및 수입세를 빼고 보조금을 더한 금액입니다.

※ 국민소득(NI) = 국민순소득(NNI) – 순생산세 및 수입세
※ 요소비용 국민소득 = 시장가격 국민소득 – (생산세 및 수입세-보조금)

이로 인해 국민소득과 요소비용 국민소득은 다소 차이가 발생합니다. 국민소득지표는 국민의 소득을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 국민처분가능소득(NDI: National Disposable Income)

한 나라 전체의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발생하는 소득의 이전을 반영한 지표로서, 한 나라의 거주자와 외국인(비거주자) 간에 발생하는 소득의 이전을 포함합니다.

※ 가계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

가계와 정부 등 제도부문 간 소득의 이전을 반영한 지표로서, 가계의 소득과 지출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이는 국민이 실제로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 즉 처분가능한 소득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국민소득통계에서는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국민의 소득과 소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