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 손에 잡히는 경제용어

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은 GDP를 생산, 분배 및 지출의 세 가지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각 측면에서 측정된 값은 동일하다는 원칙을 말합니다. 경제 주체인 가계, 기업, 정부, 국외 등에 의해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가 구매되고 분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치를 측정하는 데 적용됩니다.

 

국민소득3면등가원칙

 

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

1. 생산GDP
생산GDP는 한 나라 내에서 특정 기간 동안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한 것입니다. 이는 국내에서 생산된 총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생산GDP는 경제 주체들이 제품을 생산하는 데 기여한 가치를 측정합니다.

2. 분배GDP
분배GDP는 생산활동에 사용된 생산요소에 대해 지불되는 대가를 측정한 것입니다. 즉, 생산활동을 통해 생성된 부가가치가 노동, 자본 등의 생산요소를 제공한 경제 주체에게 분배되는 가치를 나타냅니다. 분배GDP는 국민소득의 개념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3. 지출GDP
지출GDP는 경제 주체들이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고 사용하는 데 사용한 가치를 측정한 것입니다. 가계의 소비, 기업의 투자, 정부의 지출 및 해외 부문과의 수출입 등을 포함합니다. 지출GDP는 국내에서 소비되거나 지출되는 총량을 나타냅니다.

국민경제의 생산물은 생산GDP를 통해 측정되며, 이 생산물은 지출GDP를 통해 모두 구입되고 사용됩니다. 생산GDP와 지출GDP는 크기가 같으며, 분배GDP는 생산활동을 통해 생성된 부가가치가 경제 주체에게 분배되는 가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생산GDP와 분배GDP는 동일한 값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