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처분가능소득(NDI: National Disposable Income)은 나라 경제 전체에서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나타내며,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의 소득이전을 반영합니다.
국민처분가능소득
NDI는 국민소득(National Income, NI)에 국외수취경상이전(Net Inflows from Abroad)을 더하고 국외지급경상이전(Subtractions to Nonresidents)을 뺀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 국민처분가능소득(NDI) = 국민소득(NI) + (국외수취경상이전 – 국외지급경상이전)
국외수취경상이전은 국민이 외국으로부터 받는 소득을 의미하며, 이는 주로 국민이 외국에서 일하거나 외국으로부터 받는 이자, 배당, 임대료 등의 소득을 포함합니다. 국외지급경상이전은 나라가 외국에게 지급하는 소득을 나타내며, 주로 무상원조 등 외국에 지출하는 소득을 포함합니다.
국민처분가능소득(NDI)에 고정자본소모를 더한 것을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 Gross National Disposable Income)이라고 합니다.
고정자본소모는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관련하여 생산요소인 고정자본의 감소나 마모를 의미합니다. GNDI는 국민의 총저축과 총투자의 총량을 산출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 국민처분가능소득(NDI) = 본원소득(=국민순소득(NNI)) + 국외순수취경상이전
※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 = 국민청분가능소득(NDI) + 고정자본소모
국민처분가능소득(NDI)와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은 같이 계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