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목GDP 실질GDP, 손에 잡히는 경제용어

명목GDP(nominal GDP)와 실질GDP(real GDP)는 경제 성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지표입니다.  명목 GDP는 현재 시장 가격에서 생산된 총 산출물과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명목 GDP의 증가는 산출량과 가격 상승의 영향을 모두 포함합니다.

 

명목GDP

 

명목GDP와 실질GDP

특정 해의 명목 GDP가 이전 해에 비해 증가했다면, 이는 실제로 총산출량이 증가하거나 산출물의 가격이 상승하거나, 둘 다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에 실질 GDP는 산출량의 변화만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가격 상승의 영향을 배제하고 경제적인 성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실질 GDP는 명목 GDP에서 물가 상승률의 영향을 제거하고 기준 연도의 가격 수준으로 조정된 값입니다. 이를 통해 실질 GDP는 산출량의 변화에 집중하여 경제 성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는 경제적인 활동의 변화를 측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표입니다. 명목 GDP는 시장 가격과 총 산출량, 가격 상승 등을 고려하여 경제 활동의 증감을 보여주고, 실질 GDP는 가격 영향을 배제하여 순수한 생산량의 변화를 파악합니다. 이 두 가지 지표를 함께 고려하면 경제 성장의 원인과 영향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의 개념

명목 GDP와 실질 GDP는 경제 성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개념입니다. 명목 GDP는 현재 시장 가격에서 생산된 총 산출물과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한 것입니다.

명목 GDP는 생산물이 생산된 기간 중의 가격을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이는 경상가격 GDP 또는 GDP at current prices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에 실질 GDP는 가격의 영향을 배제하여 경제적인 성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실질 GDP는 불변가격 GDP 또는 GDP at constant prices로도 불립니다. 실질 GDP는 기준 연도의 가격으로 측정된 값으로, 가격 영향을 제거하고 순수한 생산량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는 국가계정체계의 권고에 따라 실질 GDP를 연쇄가중방식으로 추계하고 있습니다. 연쇄가중방식은 기준 연도의 가격을 계속 적용하는 대신, 기준 연도의 명목 GDP 금액에 연쇄 물량 지수를 곱하여 실질 GDP를 산출합니다.

이 방식은 기술 혁신이나 상품 간 상대 가격의 변화 등을 감안하여 경제 현실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평가받고 있습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는 경제의 성장과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지표입니다. 명목 GDP는 시장 가격과 총 산출량, 가격 상승 등을 고려하여 경제 활동의 증감을 보여주고, 실질 GDP는 가격 영향을 배제하여 순수한 생산량의 변화를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 기술 혁신 등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는 가격 수준의 변화로 설명됩니다. 명목 GDP는 현재 시장 가격에서 생산된 총 산출물과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한 것이며, 실질 GDP는 가격 영향을 배제하여 순수한 생산량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지수화한 것입니다. 기준연도에서 명목 GDP와 실질 GDP가 같기 때문에 GDP 디플레이터는 100이 됩니다. 따라서 GDP 디플레이터는 가격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는 GDP 디플레이터의 변화로 설명됩니다. 예를 들어, 명목 GDP가 전년 대비 5% 증가했고, 실질 GDP가 전년 대비 3% 증가했다면, GDP 디플레이터는 2% 상승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는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상승하여 생산물과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는 물가 수준의 변화를 반영하고, 이는 경제 성장률과 구조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명목 GDP는 가격과 생산량의 모두의 영향을 받지만, 실질 GDP는 가격 영향을 배제하여 경제적인 성장을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 활동의 변화와 경기 변동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실질 GDP 추계방법

실질 GDP를 추계하는 방법에는 고정가중법과 연쇄가중법이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고정가중법
이 방법은 특정 기준연도의 가격이나 가중치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각 연도의 실질 GDP는 그 해의 생산량에 기준연도의 가격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고정가중법은 과거의 가격과 가중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의 구조 변화나 기술 혁신의 영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2. 연쇄가중법
연속적으로 매년의 물량 변화를 고려하여 연쇄적으로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연쇄물량지수를 만들어 기준연도의 GDP 금액과 곱하여 실질 GDP를 계산합니다.

연쇄가중법은 상대적인 가격과 수량 변화를 고려하기 때문에 경제 현실을 더 잘 반영하게 됩니다. 또한 신상품의 등장이나 구상품의 퇴장과 같은 변화도 반영됩니다. 하지만 연쇄물량지수의 수리적 특성상 가법성이 성립하지 않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연쇄가중법은 경제현실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OECD 회원국과 많은 선진국에서 실질 GDP의 추계에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도입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2009년에 국민소득통계의 기준연도를 2005년으로 변경함에 따라 연쇄가중법을 도입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 등의 작성에도 연쇄방식이 도입되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