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 GDP, 한 나라가 단기적인 호황 또는 불황에 관계없이 완전 고용 수준(자연실업률 상태)의 노동력과 정상 가동 상태의 자본이 투입되어 생산되는 GDP를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잠재 GDP는 실제 GDP와는 달리 장기적인 개념으로서 완전 고용 산출량 또는 자연산출량에 해당하는 GDP입니다. 실제 GDP와 잠재 GDP의 차이를 GDP 갭이라고 합니다.
※ GDP갭 = 실질 GDP – 잠재 GDP
GDP 갭은 실제 GDP가 잠재 GDP에 비해 부족하면 GDP 갭이 마이너스(-)가 되어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가 정상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경기가 침체 상태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GDP 갭이 플러스(+)가 되면 생산요소가 정상 수준을 초과하여 사용되고 경기가 호황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GDP 갭은 수요 측면에서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거시경제 지표입니다.